행서(行書)
한자 서체의 하나. 후한(後漢) 초기 유덕승(劉德昇)에 의하여 창시되어 왕희지(王蓍之)·왕헌지(王獻之) 부자에 이르러 완성되었다. 해서(楷書)를 약간 흘려 쓴 필체로 해서와 초서(草書)의 중간 서체이다. 예서(隷書)를 빨리 쓰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. 해서·초서와 각각 섞어 쓰거나 해서·행서·초서 3체를 혼합하여 쓰기도 하는데 그 조화와 변화를 잘 구사하면 뛰어난 서법의 작품을 만들 수 있다. 목간(木簡)에 옛 행서의 실례가 전해지며 행서 종류로 행압서(行押書)·진행(眞行)·행해(行楷)·초행(草行)·행초(行草)·소행초(小行草)·반초행서(半草行書)·선서(扇書) 등이 있다. 행서는 알아보기 쉽고 간편하여 일상생활에 많이 쓰인다.
#개봉동미술학원 #광명시미술학원 #구로구미술학원 #구로구취미미술 #데생 #뎃생 #미대입시 #부천미술학원 #성인반 #성인취미반 #소묘 #수채화 #예고입시 #예중예고 #예중예고미술학원 #예중입시 #인물데생 #인물소묘 #인물수채화 #인체데생 #인체드로잉 #인체소묘 #인체수채화 #인체실기 #인체입시미술 #입시미술학원 #입시전문 #추천미술학원 #취미미술 #취미반 #편입 #홍대미대 #홍익대 #회화전문구로구 미술학원구로구 입시미술취미미술